함께 만드는 언론, 시민들의 확성기 [딴지 USA]
아시아계 미국인인 우리도 인종차별에 가담해오지 않았나
상태바
아시아계 미국인인 우리도 인종차별에 가담해오지 않았나
  • 딴지 USA
  • 승인 2020.05.31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자 Larry Lin 목사님의 "Asian American Complicity in Racism" 를 번역/요약한 기사입니다.

 

I moved to Baltimore in August 2013. Prior to that time, I was pretty ignorant of the African American experience. I had read Uncle Tom’s Cabin in school, and I remember that making a strong impression on me. I was also a bit of a history nerd, so I had read up a little bit on the slave trade, Reconstruction, and Jim Crow.

저는 2013년 8월에 볼티모어로 왔습니다. 저는 그 때 당시, 흑인들이 겪은 인종차별의 역사에 관해서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던 기억과, 역사 공부를 즐기며 읽은 노예 무역, 재건 시대, 그리고 짐 크로에 대한 얕은 지식이 제가 아는 전부였습니다.

 

But I don’t think I ever had a substantial conversation with someone who was black about race before. Within a few months of moving to Baltimore (which is a majority-black city), I became friends with a guy named Mani. Mani was an African American born and raised in Baltimore, and we would hang out to talk about faith and make music. The first time I went over to his apartment, I remember noticing three things.

인종차별에 대해서 흑인들과 신중한 대화를 나눠본 적도 없었으나, 볼티모어 (흑인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 중 하나) 로 이사한지 몇 달 만에 "매니" 라는 친구를 사귀게 되었습니다. 매니는 볼티모어에서 자란 흑인이었고, 그 친구의 집을 처음으로 방문한 날 흥미로운 점 세가지를 발견했습니다.

 

The first was a picture of Martin Luther King, Jr. The second was a picture of Malcolm X. And the third was a bag of Skittles and a soda can on the coffee table.

하나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사진이고, 다른 하나는 맬컴 엑스의 사진이며, 또 다른 하나는 커피 테이블위에 놓여진 스키틀즈 (미국에서 흔히 먹는 사탕의 이름)와 소다캔이었습니다.

 

Every time I would go over, I would always notice those three things. Perhaps the third or fourth time at his place, I asked Mani why he always had snacks on the coffee table. He replied with a voice of resolve, “That’s what Trayvon Martin was holding when he was shot.”

그 세가지는 그 집에 방문할 때마다 눈에 띄었고, 제가 기억하기로 세번째 혹은 네번째로 방문했을 당시 그 친구에게 왜 항상 커피테이블위에 사탕이 놓여있는지 물었던 기억이 납니다. 친구의 답변은, "저 물건들은 트레이본 마틴이 살해당했을 때 들고 계셨던 것들이라네" 였습니다.

 

When I heard that, my first thought was, “Travyon Martin… that name sounds familiar. When I get home, I need to look that name up.” Of course, I was too embarrassed to say that out loud. I didn’t want Mani to know that I was so ignorant. But right then and there, I realized that there was a vast difference between my experience as an Asian American and Mani’s experience as an African American.

흑인 인종차별에 대한 저의 무관심을 친구에게 들키기 싫어, 저는 그저 속으로 생각하기를 "익숙한 이름이군, 집에가면 한 번 찾아봐야겠다" 했습니다. 그렇게 그 이름을 찾아본 그때부터, 아시아계 미국인인 저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제 친구 매니가, 미국에서 살아오며 경험한 것이 지극히 다름을 실감하기 시작했습니다.

 

So over the next several years, as I got to know Mani more, I decided to read up on what it was like to be black in America today. I explored the criminal justice systemthe prison systempolice violenceinfant mortalitysocial mobilitywealth distributioncollege enrollment, etc., and I slowly became more and more aware of the structural disadvantages that continually plague African Americans in our country. Additionally, the more I learned, the more shocked I was at how ignorant I was before.

지속적으로 매니와 친분을 쌓아가던 몇 년 간, 오늘날 미국에서 흑인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형사사법제도, 감옥제도, 경찰 폭력, 영아사망률, 사회적 유동성, 부의 분배, 입시 등의 주제를 공부하였는데, 그럴수록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여전히 여러 방면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불공평한 제도에 놀란것이 아니라, 이런 일들에 대하여 지극히 무관심했던 저의 태도에 놀란 것입니다.

 

Meanwhile, I watched with the rest of the world as the lives of Eric GarnerTamir RiceWalter ScottFreddie GrayPhilando CastileBotham JeanAtatiana Jefferson, and Ahmaud Arbery were taken away.

에릭 가너 피살 사건, 타미르 라이스 오인 사살, 월터 스콧 총격 살해, 프레디 그레이, 필란도 캐스틸, 보담 진, 아타티아나 제퍼슨, 그리고 아무드 알버리.. 많은 이들이 생명을 잃는 것을 전세계가 함께 바라보았습니다.

 

This week, yet another life was taken away: George Floyd. I watched the video of the incident on Tuesday, and once again I was horrified to see another death of a black human being.

But with this video, there was something else that disturbed me too. While the white

officer was pinning down Floyd’s neck with his knee, an Asian officer was standing by in silence, and even at times preventing protestors from intervening. 

To me, it was the perfect representation of Asian American complicity in racism.

그리고 이번 주, 또 다른 생명, 조지 플로이드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화요일 날 현장의 녹화 동영상을 봤고, 또 다른 흑인의 죽음에 놀람을 금치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었습니다.

백인 경찰관이 무릎으로 조지 플로이드의 목을 찍어누르고 있을 때, 동양계 경찰관이 아무 말 없이 서서 시위대의 접근을 막고 있습니다.

이 모습이 바로, 인종차별에 동조하고 있는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이었습니다.

 

I acknowledge that there have been Asian Americans throughout history who have fought alongside their African American neighbors against racism. However, they have been far outnumbered by Asian Americans who have chosen to be ignorant at best or complicit at worst in their racism

역사의 곳곳에, 아시아계 미국인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도와 인종차별에 대항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그 항쟁에 참여했던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숫자는, 저처럼 이대 대하여 무관심했던 아시아계 미국인들과, 또 오히려 가담했던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숫자에 비하면 너무도 적습니다.

 

There are many complex historical and cultural reasons for this Asian American status quo, and it would take forever to address them all. We can talk about the fact that many Asians value harmony and sacrifice, even at the expense of integrity and justice. We can talk about the fact that many Asian immigrants come from countries where there are dictators, and where political advocacy results in imprisonment or death.

아시아계 미국인의 배경을 논하자면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논할 것이 너무나 많고 복잡합니다. 하지만 그 중 하나로, 많은 동양인들이 진실과 정의보다는 질서와 희생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많은 동양 이민자들은 자기 나라의 독재자들과 정치적 탄압을 피해서 미국으로 왔다는 것도 얘기할 수 있습니다.

 

But the fact remains: too often, Asian Americans have chosen to side with the white racist over the black victim.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의 아시아계 미국인이, 흑인 피해자보다는 백인 인종차별주의자, 약자보다는 강자편에 서왔다는 사실을 직시해야합니다.

 

Much of the national conversation on race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s and blacks. As a result, Asians are often found in the messy middle. However, most Asians don’t want to be in the middle. Even though we have also experienced a long history of racial discrimination at the hands of our white neighbors, many of us still see assimilation into white culture as our path to fulfilling the American dream. And so we work hard, we study hard, we don’t ruffle any feathers, and we continue to live up to our status of the model minority (which has been granted to us largely at the expense of African Americans).

국제적으로 우리가 인종차별에 대하여 논할 때, 항상 그 이슈는 백인과 흑인의 대립으로 조명되어집니다. 결과적으로, 동양인들은 그 대립의 중간, 불확실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많은 동양인들은 중간에 놓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동양인들 또한 오랜 기간 백인들로부터 인종차별대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백인 문화에 녹아드는 것이 '아메리칸 드림' 을 실천하는 것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열심히 일하고 또 일합니다. 열심히 공부합니다. 누구의 심기도 건드리지 않고, "모범 소수민" 이 되기위하여 열심히 살아갑니다.

 

We Asian Americans might not say it out loud, but many of us have internalized a racist, reductionist history. We believe that the way to success is to work hard, and we pride ourselves in having done just that. We came to this country with nothing, speaking a foreign language, and we worked hard, saved money, and we achieved the American dream. And so when we look at the status of African Americans, we dismissively assume that they didn’t work as hard as we did, and we just conclude that only they are to blame. 

겉으로 표시하지는 않지만, 우리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내면에 인종차별적이고 환원주의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는 "열심히 일하면 성공한다" 는 가치관에 자부심을 가지고, 또 그것을 실현해 냈습니다. 미국 땅에 빈 손으로 왔고, 열심히 일했으며, 저축했고, '아메리칸 드림' 을 이루어 냈습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우리가 현재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사회적 위치를 바라볼 때, 그들이 부당하게 대우받는 이유가 "그들이 열심히 일하지 않았기 때문" 이라고 단정 짓고 비난합니다.

 

However, this narrative is a very incomplete picture. What many Asian Americans fail to realize is that our success is largely built on the backs of African Americans themselves. After all, if African American slavery did not exist, the United States may not have been such a desirable country to immigrate to. It was through the enslavement of African Americans that American prosperity was built in the first place. Additionally, if it wasn’t for the generations of African Americans fighting for their rights before most of us ever arrived, it is possible that Asian Americans would not have been as easily accepted here as well. In many ways, African Americans laid the path for other ethnic minorities to come to America too. 

하지만, 이 사상은 전혀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희생으로 인해서 우리 아시아계 미국인이 성공할 수 있었음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흑인 노예들의 희생이 없었더라면, 미국은 현재의 강대국이 될 수 없었을 것이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끊임없는 투쟁이 없었더라면, 우리 아시아게 미국인들은 미국이란 나라에 받아들여지고 정착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다방면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여러 소수민들이 미국에서 살아갈 수 있는 길을 마련했습니다.

 

The reality is that we Asian Americans have unknowingly reaped from the sufferings of our fellow African Americans. The least we can do is stand with them as they continue to suffer.

우리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동포와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희생으로인해 많은 것을 얻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그들이 여전히 고통받을 때 그들 옆에서 대변하는 것은 마땅히 해야할 일입니다.

 

Perhaps some of us, like my former self, are willing to admit that we are uninformed or uneducated about the African American experience, but we argue that that doesn’t make us complicit in racism. We are not actually killing anybody, we might say. However, sometimes it is precisely the inaction of the bystanders that perpetuates societal racism.

수동적으로 인종차별에 가담해왔다면, 우리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받은 탄압에 대하여 몰랐다고, 그에 대하여 제대로 교육받은 적이 없다고 변명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 손으로 아무도 죽인적이 없다고 하지만, 사회적 인종차별을 방관하는 우리야말로 그런 일을 허용하고 있음을 깨달아야합니다.

 

Martin Luther King, Jr. once wrote in his Letter from Birmingham Jail

다음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버밍햄 감옥에서 쓴 편지입니다.

…I must confess that over the past few years I have been gravely disappointed with the white moderate. I have almost reached the regrettable conclusion that the Negro’s great stumbling block in his stride toward freedom is not the White Citizen’s Counciler or the Ku Klux Klanner, but the white moderate, who is more devoted to “order” than to justice; who prefers a negative peace which is the absence of tension to a positive peace which is the presence of justice; who constantly says: “I agree with you in the goal you seek, but I cannot agree with your methods of direct action”; who paternalistically believes he can set the timetable for another man’s freedom; who lives by a mythical concept of time and who constantly advises the Negro to wait for a “more convenient season.” Shallow understanding from people of good will is more frustrating than absolute misunderstanding from people of ill will. Lukewarm acceptance is much more bewildering than outright rejection.

먼저, 저는 지난 몇 년간 온건한 백인 형제들에게 심히 실망했음을 고백하겠습니다.

 

저는 흑인이 지위향상을 향해 걸어가는 과정에서 발에 걸리는 중대한 장애물이 WCC22나 KKK단이 아니라 정의보다는 질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 백인 온건주의자라는 유감스런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들은 정의가 존재하는 적극적 평화보다는 긴장이 없는 소극적 평화를 더 선호합니다.

백인 온건주의자들은 끊임없이 말했습니다. “나는 당신이 찾는 목표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나는 당신의 방법과 직접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입니다.

이들은 온정주의적인 태도로 자신이 다른 사람의 자유 쟁취운동의 일정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애매한 시간 개념에 입각하여 (순응하는) 흑인들에게 ‘보다 좋은 시기’가 올 때까지 기다리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선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얄팍한 이해는 악의를 가진 사람들의 절대적인 우월주의보다 더 깊은 좌절을 우리에게 안겨주었습니다.

미온적인 수락은 분명한 거절보다 더 당혹스러웠습니다.

Here King describes “the white moderate” of his day—those of “shallow understanding” who are “more devoted to ‘order’ than to justice,” who prefer a “negative peace” over “the presence of justice.” What an apt description of so many Asian Americans today. 

여기서 킹은 그 때 당시의 백인 온건주의자들에 대하여 말하기를, 얄팍한 이해로 정의보다는 질서를 선호하는 이들이라고 했습니다. 정의보다는 소극적인 평화를 선호하는 이들이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오늘날 아시아계 미국인들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A similar sentiment is expressed in James 2:1-7, 비슷한 구절이 야고보서 2장 1~7절에 있습니다.

My brothers, show no partiality as you hold the faith in our Lord Jesus Christ, the Lord of glory. For if a man wearing a gold ring and fine clothing comes into your assembly, and a poor man in shabby clothing also comes in, and if you pay attention to the one who wears the fine clothing and say, “You sit here in a good place,” while you say to the poor man, “You stand over there,” or, “Sit down at my feet,” have you not then made distinctions among yourselves and become judges with evil thoughts? Listen, my beloved brothers, has not God chosen those who are poor in the world to be rich in faith and heirs of the kingdom, which he has promised to those who love him? But you have dishonored the poor man. Are not the rich the ones who oppress you, and the ones who drag you into court? Are they not the ones who blaspheme the honorable name by which you were called?

(약 2:1) 내 형제들아 영광의 주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너희가 가졌으니 사람을 차별하여 대하지 말라
(약 2:2) 만일 너희 회당에 금 가락지를 끼고 아름다운 옷을 입은 사람이 들어오고 또 남루한 옷을 입은 가난한 사람이 들어올 때에
(약 2:3) 너희가 아름다운 옷을 입은 자를 눈여겨 보고 말하되 여기 좋은 자리에 앉으소서 하고 또 가난한 자에게 말하되 너는 거기 서 있든지 내 발등상 아래에 앉으라 하면  눅7:44
(약 2:4) 너희끼리 서로 차별하며 악한 생각으로 판단하는 자가 되는 것이 아니냐
(약 2:5)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들을지어다 하나님이 세상에서 가난한 자를 택하사 믿음에 부요하게 하시고 또 자기를 사랑하는 자들에게 약속하신 나라를 상속으로 받게 하지 아니하셨느냐
(약 2:6) 너희는 도리어 가난한 자를 업신여겼도다 부자는 너희를 억압하며 법정으로 끌고 가지 아니하느냐
(약 2:7) 그들은 너희에게 대하여 일컫는 바 그 아름다운 이름을 비방하지 아니하느냐
(약 2:8) 너희가 만일 성경에 기록된 대로 ㄱ)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몸과 같이 하라 하신 최고의 법을 지키면 잘하는 것이거니와 레 19:18
(약 2:9) 만일 너희가 사람을 차별하여 대하면 죄를 짓는 것이니 율법이 너희를 범법자로 정죄하리라
(약 2:10) 누구든지 온 율법을 지키다가 그 하나를 범하면 모두 범한 자가 되나니  삼상15:13삼상15:14갈3:10
(약 2:11) ㄴ)간음하지 말라 하신 이가 또한 살인하지 말라 하셨은즉 네가 비록 간음하지 아니하여도 살인하면 율법을 범한 자가 되느니라 출 20:13,14; 신 5:17
(약 2:12) 너희는 자유의 율법대로 심판 받을 자처럼 말도 하고 행하기도 하라
(약 2:13) 긍휼을 행하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긍휼 없는 심판이 있으리라 긍휼은 심판을 이기고 자랑하느니라

“We are not actively harming the poor,” we may say, but doesn’t our partiality for the rich perpetuate the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우리가 언제 가난한 사람들을 박해했습니까" 라고 말하지만, 우리가 무의식 중에 부유한 자/강자 편을 선호하는 것이 빈부격차를 영속시키는 것 아니겠습니까.  

I believe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race. Many Asian Americans have shown partiality by honoring their white neighbors while dishonoring their black neighbors. Doesn’t our partiality for those who are white perpetuate the inequality between whites and blacks?

같은 이치가 인종에도 적용됩니다.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이, 흑인 이웃보다는 백인 이웃을 선호하는 것을보면 간단히 알 수 있습니다. 백인 이웃을 선호하는 우리의 태도가, 백인과 흑인 사이에 불평등을 영속시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I confess that I, like the Asian American officer at the scene of George Floyd’s death, have been a part of the problem. For much of my life, I was complicit in my racism toward African Americans, and I was completely oblivious to that racism. I was more devoted to order than to justice. I sought to honor the powerful, not realizing that doing so was dishonoring the powerless. But that is not the biblical way. James writes, “Are not the rich the ones who oppress you, and the ones who drag you into court?” I would also add, “Are not the people who are racist against African Americans also racist against Asian Americans as well?” 

저 또한, 조지 플로이드를 살해한 경찰관처럼, 근본적인 문제의 일부였다고 자백합니다. 저 또한 살아온 인생의 대부분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향한 인종차별에 가담해왔음을 인정합니다. 정의보다는 평화를 선호했고, 강자편에 서왔으며, 약자를 탄압하고 있다는 자각조차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성경적이지 않습니다! 야고보가 말하기를 "바로 너를 탄압하고, 법정으로 끌고가는 자는 부유한 자들이 아니냐" 라고 했습니다. [야고보서 2:6 너희는 도리어 가난한 자를 업신여겼도다 부자는 너희를 억압하며 법정으로 끌고 가지 아니하느냐]

이에 저도 한마디 덧붙이자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탄압한 인종차별주의자들이야말로 너희 아시아계 미국인을 탄압한 자들이 아니냐" 라고 하겟습니다.

 

 

I don’t want to be ignorant anymore. I don’t want to be silent anymore. I don’t want to be complicit anymore.

Fellow Asian Americans, let’s stop defending the racism in our culture. Let’s stand in solidarity with our African American neighbors.

저는 더이상 불의에 무관심하기를 원치 않습니다. 더이상 불의에 침묵하지 않을 것이고, 더이상 불의에 가담하지 않을 것입니다.

친애하는 아시아계 미국인 여러분, 우리의 문화 안에 섞여있는 인종차별주의를 정당화하기를 멈추고, 우리의 이웃인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옆에 함께 서기를 바랍니다.

 

저자 정보:

Larry Lin

Larry was born and raised in San Jose, CA, and he serves as a pastor at The Village Church Hampden in Baltimore, MD. He has a BS from Cornell University and a MDiv from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Larry is the husband to Van-Kim and the father of one daughter and one son, and he enjoys songwriting, basketball, Wikipedia, and conversations about politics and culture.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0 / 1000